축구 규칙가운데 선수와 관련한 규칙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축구에는 경기장, 공도 있어야 하지만 경기를 플레이하는 선수들도 중요합니다. 특히 선수와 교체선수, 후보선수와 관련하여서도 여러 규칙들이 있습니다. 선수의 교체도 마냥 하고 싶을 때 하고 싶은 만큼 하는 것이 아닌 등록된 선수들을 규정된 숫자만큼 교체할 수 있으며, 교체를 위한 절차와 조건에 따라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축구 경기 중에 발생하는 반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지요. 오늘은 선수의 구성, 교체와 관련한 규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선수
선수 구성
경기는 각각 11명 이하로 구성된 두 팀에 의해 플레이됩니다. 선수들 중 한 명은 골키퍼입니다. 어느 한 팀이 7명보다 적을 경우에는 경기를 시작하거나 계속할 수 없습니다.
1명 이상의 선수가 의도적으로 경기장을 떠나 한 팀의 선수가 7명보다 적다면, 주심은 경기를 중단시킬 의무가 없고 어드밴티지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볼이 아웃오브 플레이가 된 이후에도 한 팀의 선수가 최소 7명이 되지 않는다면, 경기를 재개해서는 안됩니다.
대회 규정에서 모든 선수와 교체 선수들의 이름을 킥오프 전에 반드시 제출하도록 명기하고 있을 경우, 어떤 한 팀의 출전 선수가 11명보다 적은 상태에서 경기가 시작되었다면 팀 명단에 이름을 올린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들만이 도착하는 대로 그 경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선수 교체
교체 가능한 선수의 수
교체 가능한 선수의 수는 어떤 공식대회의 경기에서도 최대 5명까지이며, 그 숫자는 FIFA, 대륙연맹, 각국 축구협회에서 결정합니다. 국가대표 A팀이 참가하는 대회는 대회규정에 따라 최대 5명 교체가 가능하며 이때 각 팀은 '최대 3회의 선수교체 기회를 갖습니다', '하프타임 도중에는 추가 선수교체 기회가 허용됩니다'
※양 팀이 동시에 선수를 교체한 경우에는 이를 각 팀이 각각 한 번의 교체기회를 사용한 것으로 계산합니다. 어느 한 팀이 특정 플레이 중단 시간에 한꺼번에 복수의 선수를 교체 및 교체신청하는 경우는 한 번의 교체기회를 사용한 것으로 계산합니다.
연장전에서의 선수교체
어느 한 팀이 최대 교체선수 또는 교체기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투입되지 않은 교체선수 및 교체기회는 연장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회 규정에서 연장전 도중 교체선수 한 명을 추가로 교체투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경우, 각 팀은 각각 한 번씩의 추가 교체기회를 갖습니다. 교체는 경기 종료부터 연장전 시작까지의 시간과 연장전 하프타임에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체는 교체기회의 사용으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대회 규정은 다음 사항을 명시해야 합니다.
- 얼마나 많은 교체 선수를 등록할 수 있는지 기재합니다. 3명에서 최대 15명까지 범위가 가능합니다.
- 경기가 연장전으로 들어갈 때 1명의 추가 교체가 가능한지 여부(팀이 가능한 최대 교체 숫자를 이미 사용했는지는 상관없습니다)
기타 경기에서의 선수교체
성인 국가대표 A팀의 경기에는 최대 15명의 교체선수를 등록할 수 있으며, 그중 6명까지 교체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다른 모든 경기에서 다음 조건이라면 더 많은 숫자의 교체를 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팀들이 최대 교체 숫자에 동의하였을 때
- 주심이 경기 전에 통보를 받았을 때
주심이 통보를 받지 않았거나, 해당 팀들의 합의가 경기 전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각 팀은 최대 6명의 교체가 허용됩니다.
재교체
재교체는 FIFA, 대륙연맹, 각국 축구협회의 동의하에 유스, 장년, 장애인, 풀뿌리축구에서만 허용됩니다.
교체절차
교체선수의 등록
교체 선수의 이름은 경기시작 전에 주심에게 제출되어야 합니다. 이때까지 등록되지 않은 교체선수는 경기에 참가할 수 없습니다.
선수교체의 조건
플레이 중인 선수를 다른 선수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들을 준수해야 합니다.
- 교체하기 전에 주심이 선수 교체 의사를 통보받아야 합니다.
- 교체될 선수는 ① 이미 필드 밖에 있지 않다면 경기장을 떠나기 위하여 주심의 허락을 받아야 하며, 자신에게 가장 가까운 경계선 상의 지점을 통해 떠나야 합니다. 단, 주심이 (안전/경호/부상 등의 이유로) 하프웨이 라인 또는 다른 지점으로 즉시 나가도록 지시하는 경우는 예외로 합니다. ②선수는 즉시 기술지역 또는 탈의실로 가야 하며 교체된 선수는 그 경기에서 더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재교체가 허용되는 경기는 예외로 합니다.
- 교체될 선수가 떠나기를 거부한다면 경기를 계속합니다.
교체선수의 입장
교체선수는 다음의 조건하에서만 입장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가 중단되었을 때
- 하프웨이 라인을 통해서
- 교체 아웃되면 선수가 떠났을 때
- 주심의 신호를 받은 후
교체선수가 경기장에 들어가면 교체가 완료됩니다. 그 순간부터 플레이하던 선수는 교체된 선수가 되고, 교체 투입 선수는 플레이를 하는 선수가 되어 경기 재개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교체된 선수와 교체 선수는 경기에 참여하든, 참여하지 않든 주심의 권위에 복종해야 합니다.
골키퍼와 역할교대
어느 선수라도 골키퍼와 역할을 바꿀 수 있으나, 다음의 조건을 따릅니다.
- 역할 교대가 이루어지기 전에 주심이 통보를 받아야 합니다.
- 플레이가 중단되었을 때 교대해야 합니다.
반칙과 처벌
만약 명단의 교체 선수가 선수를 대신하여 경기를 시작하였고, 주심이 이변경에 대해 통보받지 못한 경우,
- 주심은 그 명단의 교체선수가 계속 플레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 그 명단의 교체선수에게 징계를 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출전하기로 했던 선수는 교체 선수가 될 수 있습니다.
- 교체 허용 선수 숫자는 감소하지 않습니다.
- 주심은 이 상황에 대해 관련 기관에 보고합니다.
선수 교체가 하프타임 휴식 중 또는 연장전 이전에 이루어진다면, 그 절차는 경기가 재개되기 전에 완료되어야 합니다. 만약 주심이 교체 사실을 통보받지 못했더라도 그 교체선수를 처벌하지 않고 플레이를 계속하도록 하며, 이 문제를 관련기관에 보고해야 합니다.
주심의 허락 없이 골키퍼와 다른 선수가 역할을 바꾸었다면 주심은,
- 플레이를 계속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아웃오브 플레이 때에 두 선수를 경고조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프타임(연장전 하프타임 포함), 경기 종료 후부터 연장전 시작 전까지, 그리고/또는 승부차기 전까지는 역할을 바꾸었더라도 경고 조치를 하지 않습니다.
그 외 다른 반칙에 대해서 주심은,
-해당 선수들에게 경고 조치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가 중단되었을 때 볼이 있던 위치에서 상대팀의 간접프리킥으로 재개합니다.
선수와 교체 선수의 퇴장
선수가 퇴장을 당했을 때
- 팀 명단을 제출하기 전에 퇴장당한 선수는 어떠한 경우에도 팀 명단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 팀 명단에 등록을 마친 후 경기 시작 전에 퇴장당한 선수는 등록된 다른 교체선수로 대체할 수 있으나, 추가로 티 ㅁ명단에 교체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그 팀의 교체 허용 숫자는 감소하지 않습니다.
- 경기 시작 후에는 대체할 수 없습니다.
킥오프 전이나 경기가 시작된 후 어느 경우든, 교체선수가 퇴장당하면 대체할 수 없습니다.
경기장의 외부인원
외부요인
팀 명단에 표시된 지도자와 다른 임원(선수와 교체선수는 제외)은 팀 임원으로 간주합니다. 선수, 교체선수 또는 임원으로 팀 명단에 등록되지 않은 사람은 모두 외부 요인입니다.
만약 팀의 임원이나 교체선수, 교체된 선수, 퇴장당한 선수, 외부요인이 경기장에 들어왔다면 주심은,
-플레이가 방해가 된 경우에만 플레이를 중단합니다.
-플레이가 중단되었을 때, 그 사람을 내보냅니다.
- 적절한 징계조치를 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해로 플레이가 중단되었다면,
-팀 임원, 교체선수, 교체된 선수, 퇴장당한 선수에 의해서 발생할 경우, 플레이는 직접 프리킥 또는 페널티킥으로 재개합니다.
- 외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할 경우, 플레이는 드롭볼로 재개합니다.
만약 볼이 골문으로 향해가고 있고, 수비 선수가 볼을 플레이하는데 방해가 없었고(볼에 접촉이 있더라도), 볼이 골문 안으로 들어갔다면, 공격팀의 방해가 아닌 한 득점이 인정됩니다.
경기장 밖의 선수
선수가 경기장에 다시 들어올 때 주심의 허락이 필요하지만, 주심의 허락 없이 들어왔다면 주심은 반드시,
- 플레이를 중단합니다(만약 선수가 플레이 방해 또는 심판방해를 하지 않았거나, 어드밴티지를 적용할 수 있다면 즉시 중단시키지 않습니다.)
- 허락 없이 경기장에 들어온 이유로 선수에게 경고조치를 합니다.
주심이 플레이를 중단시켰다면, 다음과 같이 재개해야 합니다.
- 방해가 있었을 경우, 방해 지점에서 직접 프리킥
-방해가 없었을 경우, 중단되었을 때 볼이 있었던 지점에서 간접 프리킥
선수가 플레이하는 움직임 중에 경계선을 넘어갔다면, 반칙을 범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경기장에 외부 인원이 있었을 때의 득점
만약, 득점이 되고 경기가 재개되기 전에 득점 당시 외부 인원이 경기장에 있었다는 것을 주심이 알았다면,
- 외부 인원이 아래에 해당될 경우, 주심은 득점을 취소해야 합니다.
①득점을 한 팀의 선수, 교체선수, 교체된 선수, 퇴장당한 선수, 임원이라면 : 플레이는 외부인원이 있었던 위치에서 직접프리킥으로 재개합니다.
②외부요인이 플레이를 방해하였고, 위 '경기장의 외부인원'에서 명시한 득점 상황이 아니라면: 플레이는 드롭볼로 재개합니다.
- 외부 인원이 아래에 해당될 경우, 주심은 득점을 인정해야 합니다.
①득점을 허용한 팀의 선수, 교체 선수, 교체된 선수, 퇴장당한 선수, 임원이라면
②플레이를 방해하지 않은 외부요인이었다면
모든 경우에, 주심은 외부 인원을 경기장에서 내보내야 합니다.
만약 득점이 되었고 플레이가 재개된 후, 득점 당시 외부 인원이 경기장에 있었다는 것을 주심이 알았더라도 득점은 취소되지 않습니다. 외부 인원이 여전히 필드에 있다면 주심은,
-플레이를 중단합니다.
-외부인원을 내보냅니다.
-플레이는 적절하게 드롭볼 또는 프리킥으로 재개합니다.
주심은 관련 기관에 사건을 보고해야 합니다.
주장(Captain)
팀의 주장은 특별한 지위나 특권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팀의 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책임을 갖습니다.
정리
오늘은 선수와 관련한 축구 규정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축구 경기를 위한 최소한의 선수 숫자부터 교체선수의 등록, 선수교체 절차, 반칙에 따른 선수의 처벌, 그리고 경기장 밖의 요인들에 의한 경기플레이 중 대처 등 경기장 내외의 인적요인들 역시 다양한 규정들에 의해 절차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경기 진행과 관련하여 심판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경기가 플레이되는 가운데 많은 것들을 판단하고 결정해야 하는 위치이기에 더욱 주의 깊은 역할수행이 필요하겠습니다. 오늘 글 역시 축구에 조금 더 이해를 높이고 관심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포츠 >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진행에서 중요한 사람, 축구 주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3.04.29 |
---|---|
멋에서 과학적 원리까지! 축구선수의 장비와 관련한 규칙을 알아봅니다. (0) | 2023.04.12 |
이 모양에 이런 원리가? 축구 경기장과 축구공과 관련한 규정을 알아봅니다. (0) | 2023.04.07 |
축구의 규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기본적인 축구의 규칙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3.04.06 |
국가대표의 의미와 개인적인 생각 (0) | 2023.03.30 |